벵어돔,숭어,학꽁치등 다양하게 공략할수 있는 완성된 빝밥이 나와 입고 되었습니다
잡어 잡는 낚시분들에게 추천
'바다낚시 > 찌낚시,선상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고 전유동 낚시법 (0) | 2022.12.02 |
---|---|
왜 밑밥이 필요한 것일까? (0) | 2022.06.19 |
숭어.감성돔용 추천 파우더 (0) | 2021.10.05 |
벵에돔 전유동 낚시 (0) | 2019.05.23 |
찌로 수심파악 하는 방법 (0) | 2019.04.25 |
벵어돔,숭어,학꽁치등 다양하게 공략할수 있는 완성된 빝밥이 나와 입고 되었습니다
잡어 잡는 낚시분들에게 추천
당고 전유동 낚시법 (0) | 2022.12.02 |
---|---|
왜 밑밥이 필요한 것일까? (0) | 2022.06.19 |
숭어.감성돔용 추천 파우더 (0) | 2021.10.05 |
벵에돔 전유동 낚시 (0) | 2019.05.23 |
찌로 수심파악 하는 방법 (0) | 2019.04.25 |
완성밑밥 입고 (0) | 2024.09.01 |
---|---|
왜 밑밥이 필요한 것일까? (0) | 2022.06.19 |
숭어.감성돔용 추천 파우더 (0) | 2021.10.05 |
벵에돔 전유동 낚시 (0) | 2019.05.23 |
찌로 수심파악 하는 방법 (0) | 2019.04.25 |
아주 잘 설명된 동영상이라 올려 봅니다
완성밑밥 입고 (0) | 2024.09.01 |
---|---|
당고 전유동 낚시법 (0) | 2022.12.02 |
숭어.감성돔용 추천 파우더 (0) | 2021.10.05 |
벵에돔 전유동 낚시 (0) | 2019.05.23 |
찌로 수심파악 하는 방법 (0) | 2019.04.25 |
흑조라는 감성돔 파우더로 보통 적색이지만
이파우더는 조금 검붉은 색으로
구성이 잘되어있어 감성돔.숭어에 최적
건식타입으로 풍부한 곡물.조개껍질등이 포함되 별도의 곡물을 굳이 첨가할 필요가 없는제뭄
요즘 처럼 가을시기 빠른침강과 확산이 좋은제품으로 크릴한장을 포함하면 끝인 추천할먄한 파우더랍니다
당고 전유동 낚시법 (0) | 2022.12.02 |
---|---|
왜 밑밥이 필요한 것일까? (0) | 2022.06.19 |
벵에돔 전유동 낚시 (0) | 2019.05.23 |
찌로 수심파악 하는 방법 (0) | 2019.04.25 |
절대풀리지 않는 면사 매듭법 (0) | 2019.04.23 |
두번째 그림중 좌측은 반유동 우측은 전유동 채비입니다
뭐가 다르냐면 반유동은 수심을 정해놓고 낚시을 하고
전유동은 수명위 표층부터 바닦까지 전층을 탐색 하는 방법으로 낚시을 합니다
요즘 벵에돔이 서서히 붙어 대부분 이 전유동 채비로 낚시을 합니다
벵어돔 특성상 밑밥에 반응으로 수면까지 떠오르기도 하니
수시로 매듭을 올겨하는 반유동 보단 빠르기 때문입니다
그럼 전유동에 대해 오늘은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구성은 밑에 그림처럼 찌 >스토퍼(조수고무) >직결(도래) >봉돌 > 바늘로 구성되며
첨음 접할분들은 매듭 >반달구슬>찌, 매듭>찌 로 추천을 합니다
봉돌과 바늘이 바닦에 도착하면 찌에 표시을 보이는데 처음 하는분들은 잡아내질 못해
밑걸림으로 채비손실이 많아 수심을 정해놓고 낚시을 하심 좋습니다
대부분 고부력 (0.5호~3.0호이상의 부력) 보단 저부력(000~0~2b부력을 가진 찌)을
사용하고 크기가 작아 부력도 적어 서서히 찌가 내려가기도 합니다
보통 b부력을 가진 찌로 b부력만 죽이기위해 바늘위 b봉돌을 달아 하는 방법을 b조법이라 합니다
부력을 줄이기 위해 전유동은 바늘위로 30~60cm정도 에 조개봉돌을 찌에 표시된 부력에 맞게 물리고 사용합니다
때론는 더 작은 봉돌을 두개을 나누어 1/3,2/3 부분에 달아서 씁니다
이는 내려가는 속도는 같아도 라인이 펴질수 있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반유동의 경우 분납은 같지만 하나의 봉돌을 물릴 경우 보통 목줄라인에 1/2에 대부분 달죠
그림은 바늘 위 30cm와 절반을 달고 낚시 중 일때 대상어가 먹고 움직일때의 모습입니다
봉돌의 위치 때문에 어신이 올때 찌을 끌고 내려갈 시간이 어느게 빠르게 느끼겠습니까?
즉 왼쪽그림이 더 빠르겠죠 적은 각이 펴지고 그로 인해 찌가 끌려 들어 가니깐요
위 그림은 잠수형태의 000,00,찌을 올려 놓은것 입니다
캐스팅이후 채비 (바늘과 봉돌)가 정열되면 그 무게로 인해 서서히 잠기고 잠기면서 줄을 풀어 운영하는 기법입니다
물이 빠르게 흐를때 라인을 풀어주면 계속 서서히 잠기고 잠깐 멈추면 조류에 떠올르기을 반복하면 보냅니다
바닦에 봉돌이 닫는 느낌을 잘못하면 지나치기 쉽지만 느낌은 손으로 받기도 합니다
전유동 채비 이해가 좀 가시려나요??
당고 전유동 낚시법 (0) | 2022.12.02 |
---|---|
왜 밑밥이 필요한 것일까? (0) | 2022.06.19 |
숭어.감성돔용 추천 파우더 (0) | 2021.10.05 |
찌로 수심파악 하는 방법 (0) | 2019.04.25 |
절대풀리지 않는 면사 매듭법 (0) | 2019.04.23 |
찌낚시에서 필수 요소중 하나가 수심을 파악 하는 방법으로 보통 무거운 봉돌을 바늘에 달아 수면에 있는 찌을 강제적으로 가라 않져서 잡게 되는부분이 많을 것입니다
제가하는 수심 체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찌위 반달구슬 대신이나 반달구술 위로 구슬을 하나나 두개 더 추가을 시켜 줍니다
이것으로 끝~~~
우선 찌낚시 셋팅^^
면사매듭 > 댓빠구슬 >찌
면사매듭 >댓빠구슬 >댓빠구슬 >반달구슬 >찌
이런형태로 셋팅을 합니다
일반구슬만 있으면 반달구슬이 필요합니다 일반구슬은 구멍 지름이 커서 매듭이 통과을 하기 때문에 전 댓빠구슬을 이용해 반달구슬처럼 사용합니다
채비가 바닦에 닿지 않을경우 면사 매듭을 끌고 들어가기에 옆 사진처럼 찌 위로 구슬과 면사매듭이 나열이 됩니다
멀리 조류을 타더래도 댓빠구슬이 뛰어나와 시인성도 좋아집니다
필요할땐 큰크기로 두개을 쓰기도 합니다
만약 밑 채비 (봉돌)이 바닦에 닿으면 찌와 면사매듭이 멀어져
그 사이에 구슬이 이탈되겠지요
보시는 바와 같이 구슬과 찌가 같이 있지 않아
이것은 밑채비가 이미 바닦에 닿아 있다 보심 됨니다
이처럼 간단한 응용으로 채비의 수심도 파악 하고 시인성도 좋아져 사용하기 편합니다
참고 하세요^^
반유동채비,저부력채비등 다양하게 사용합니다
당고 전유동 낚시법 (0) | 2022.12.02 |
---|---|
왜 밑밥이 필요한 것일까? (0) | 2022.06.19 |
숭어.감성돔용 추천 파우더 (0) | 2021.10.05 |
벵에돔 전유동 낚시 (0) | 2019.05.23 |
절대풀리지 않는 면사 매듭법 (0) | 2019.04.23 |